- 남조류개체수, 전년대비 달성보 69배·강정보 10배·칠곡보 49배 증가 '최악'...4개보 관심·주의·경계
환경단체 "독(毒)조라떼 식수 위협, 수문 전면 개방" / 환경청 "폭염 탓, 식수 안전...보 개방 조사 중"
낙동강 녹조가 역대 최악으로 나타났다.
이명박 정부는 '4대강 사업' 완료 이래 수질관리 목적으로 예보제를 도입했다. 이어 각 지역환경청은 2014년부터 보가 설치된 지점의 조류 현황(녹조)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이와 관련해 낙동강 중·상류 6개 보 7월말~8월초 기록을 확인해보니 올해 남조류개체수가 역대 최고치로 나타났다. 식물성 플랑크톤 일종인 '마이크로시스티스'라는 남조류(녹조) 속에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맹독성 물질이 가장 많이 번식했다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듯 현재 낙동강 4개 보에는 관심·주의·경계단계가 발령됐다.
![]() |
||
▲ 낙동강 중류 '칠곡보'에 핀 녹조(2018.8.1) / 사진.대구환경운동연합 |
낙동강 중류 달성보의 경우 올해 8월1주차 조류 현황을 보면 남조류 개체수가 13만3,600cells(셀)/㎖로 '주의단계'가 발령됐다. 전년도 같은 시기 1,928cells/㎖과 비교하면 남조류가 69배 많다. 칠곡보의 경우 지난해 같은 시기 290cells/㎖인 반면, 올해는 1만4,350cells/㎖로 49배 늘었다. 강정고령보도 올해 1만9,620cells/㎖로 '경계단계'가 발령됐지만, 작년에는 이보다 10배 적은 1,793cells/㎖이었다.
상류도 심각하다. 상주보는 지난해 이맘때 623cells/㎖로 평상단계였지만→올해는 80배가 늘어난 5만416cells/㎖로 '주의단계'가 발령됐다. 낙단보도 지난해 775cells/㎖에서→올해는 1만8,729cells/㎖로 전년대비 같은 시기 남조류개체수가 24배 증가해 '관심단계'가 발령된 상태다. 구미보는 지난해 639cells/㎖→올해는 9,929cells/㎖로 남조류가 15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
||
▲ 낙동강 '달성보'에서 쏟아져 내리는 짙은 녹색의 강물(2018.8.1) / 사진.대구환경운동연합 |
이어 "폭염에다가 물이 (보에)갇힌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지독한 녹조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며 "조류 독소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하고 빠른 길은 낙동강 4대강 보 수문 전면 개방"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대구지방환경청 수질관리팀 한 관계자는 "이상 폭염 탓에 녹조 현상이 나타난 것"이라며 "취수원에서 정수처리를 완벽에 가깝게 하기에 식수는 안전하다"고 했다. 또 수문 전면 개방에 대해서는 "정부와 환경청이 현재도 개방 여부를 조사 중"이라며 "조사가 끝나야 확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movie@pn.or.kr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