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은정 /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
(벨 훅스 지음 | 이경아 옮김 | 문학동네 펴냄 | 2017)
성장기에 무시무시한 성차별 세례를 폭포수처럼 얻어맞으며 페미니즘에 눈 떴다. 그러나 내 안에 싸워야 할 성차별주의가 너무 많은데다 밖으로 비난과 공격의 화살을 맞받을 강심장이 못되었으므로, 나는 그저 '페미니스트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되기로 했다.
그러다 록산 게이의 「나쁜 페미니스트」를 읽고 나도 '나쁜 페미니스트'가 되기로 한다. 이 책은 미국의 대중문화와 각종 이슈들을 다루고 있어서(물론 록산 게이의 심각한 경험담도 있지만) 매우 산만하고 공감하기 힘들었기에 읽다가 덮어버렸다. 하지만, <불편하고 두려워서 페미니스트라고 말하지 못하는 당신에게>라는 부제만은 정말 마음에 들었다. 'bad'는 '나쁜'이라는 도덕적 의미가 아니라 '부족한, 못 미치는, 완벽하게 훌륭하지 못한'이라는 뜻으로, '부족한 페미니스트'라 읽어야한다는 록산 게이의 명명이 완전 마음에 들었다.
맞아, 그것을 완벽하게 체현해야만 무슨 주의자가 되진 않잖아. '지향점'일 수도 있는 거야. 그 다음부터는 나이가 주는 용기까지 조금 보태서 “나는 나쁜 페미니스트요.”하고 말할 수 있었다. 물론, 이 또한 매우 소심한 고백이란 것을 인정한다.
그러다 록산 게이의 「나쁜 페미니스트」를 읽고 나도 '나쁜 페미니스트'가 되기로 한다. 이 책은 미국의 대중문화와 각종 이슈들을 다루고 있어서(물론 록산 게이의 심각한 경험담도 있지만) 매우 산만하고 공감하기 힘들었기에 읽다가 덮어버렸다. 하지만, <불편하고 두려워서 페미니스트라고 말하지 못하는 당신에게>라는 부제만은 정말 마음에 들었다. 'bad'는 '나쁜'이라는 도덕적 의미가 아니라 '부족한, 못 미치는, 완벽하게 훌륭하지 못한'이라는 뜻으로, '부족한 페미니스트'라 읽어야한다는 록산 게이의 명명이 완전 마음에 들었다.
맞아, 그것을 완벽하게 체현해야만 무슨 주의자가 되진 않잖아. '지향점'일 수도 있는 거야. 그 다음부터는 나이가 주는 용기까지 조금 보태서 “나는 나쁜 페미니스트요.”하고 말할 수 있었다. 물론, 이 또한 매우 소심한 고백이란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을 읽으면서 다시 망설인다. '나쁜 페미니스트'가 되기에도 턱없이 모자라 보였기 때문이다. 다시 묻는다, 나는 페미니스트인가? 자신이 없다.
![]() |
||
‘페미니스트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
‘여성들은 가부장제에 앞서 우리 자신부터 바꿔야 한다.’
벨 훅스의 명제가 폐부를 찌른다.
어처구니없는 내 안의 성차별주의를 예로 들라면 밤을 새도 모자랄 판이지만 여기서 대표적인 몇 가지만 찍어 고백하면,
- 병원에 갔을 때 남녀 치료사 중 누구로부터 치료받을 건가? 나는 남성치료사를 선택했다. 남성이 여성보다 힘이 세기 때문? 능력이 더 있기 때문? 무슨 근거임?
- 아이 자전거를 고치려고 낑낑대는 여성에게 느닷없이 내 입에서 "남편 없어요?"란 말이 튀어 나갔을 때, 순간 엄청 당황했으나 이미 엎질러진 물... 자전거 고치는 거랑 남편이랑 무슨 상관이야?!
- 몸에 대한 편견. 뚱뚱하면 자기 관리가 안 되는 사람, 나아가 게으르고 무능력할 거라 치부함. 애써 생각한다, 어떤 부작용이나 사정이 있을 것이라고. 나 역시 나이 들수록 늘어지는 뱃살을 매일 쳐다보며 거울을 부정하곤 한다. 그거 나 아니야, 나는 곧 살 뺄 거야, 뺄 수 있어, 정말이야! 이 지긋지긋한 몸에 대한 편견 DNA!
책은 총19장에 걸쳐 페미니즘의 매우 방대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 페미니즘과 정치, 의식화, 계급투쟁, 인종과 젠더 등 하나의 주제를 깊이 파고 들기보다는 관련 논쟁과 흐름을 축약하여 짚어나가는 식으로, 각론으로 짜맞춘 총론에 가깝다. 결론적으로 벨 훅스는 ‘남녀평등’이라는 개량주의와, 페미니즘을 단지 계층상승 수단으로만 삼는 기회주의를 배격하고, 학계에 안주해버린 여성운동의 심장에 다시 불을 붙이자고 호소한다.
나 또한 '나쁜 페미니스트'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고 싶다.
- 페미니즘은 남녀 성대결을 필연적으로 수반할 수밖에 없는가?
- 여성혐오에 남성혐오로 맞서는 어리석음을 말릴 방도는 없는가?
- 풍자와 혐오를 어떻게 구별하는가?
- 여성 정치인이라 해서 페미니즘을 대변할 수 있는가? (한때 박근혜 씨를 지지했던 그 분들 요즘 뭐하시는지 궁금하다)
- 낙태의 합법화를 반대하는 것이 어떻게 여성에게 유익한가?
- 난민을 반대하면서 성차별을 반대할 수 있는가?
- '자매애'의 배타성은 용서되는가?
성숙한 페미니스트들만이 급진적인 페미니즘 정치를 구현할 수 있다는 나의 신념에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나와 우리 모두를 성숙한 페미니스트로 성장시키는 것이 급선무라 여겨진다. 하여, 나 스스로에게도 끊임없이 묻겠다. 나는 페미니스트인가?
![]() |
||
[책 속의 길] 148
이은정 / 두 아이의 엄마. 직장인
이은정 / 두 아이의 엄마. 직장인
평화뉴스 pnnews@pn.or.kr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