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질주, 인도 방치...대구시 1천여대 전동킥보드 '안전' 논란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 입력 2020.09.28 18:2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체 4곳 대구전역 1,510대 도입...횡단보도·상가·주택 '씽씽', 골목·점자블록 점거, 헬멧 없이 '위험'
9월 들어 5배 급증·민원 봇물 "치우지도 못하고 짜증" / 시 "법 미비 규제 어려워, 단속·조례 등 대책"


도로는 물론 횡단보도, 인도를 빠른 속도로 씽씽 달리고 휙 소리를 내며 사람 옆을 스쳐지나간다.

좁은 골목길과 주차장, 도로 갓길을 포함해 심지어 주택가 대문 앞이나 상가 입구를 가로 막아선 경우도 있다.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을 돕는 점자블록 위에도 아무렇지 않게 널부러져 있다.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역 입구 등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는 여러대가 사람들 출입을 방해하며 방치돼 있기도 하다. 대충 세워놓고 가면서 손잡이를 툭치자 여러대가 한꺼번에 우르르 넘어지기도 한다. 

대구 수성구 한 버스정류장 인도에 쓰러져있는 전동킥보드들(2020.9.24)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 수성구 한 버스정류장 인도에 쓰러져있는 전동킥보드들(2020.9.24)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 중구 교동 버스정류장에 누가 두고 간 전동킥보드(2020.9.2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 중구 교동 버스정류장에 누가 두고 간 전동킥보드(2020.9.2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 도심 곳곳에 갑자기 늘어난 '보라색', '노란색' 공유 전동킥보드로 인한 민원이 계속되고 있다.

28일 낮 대구시 중구 동성로 통신골목에 보라색 전동킥보드가 세워졌다. 이용자 20대 이모씨는 지난 주 A업체 어플 회원으로 처음 가입해 신기한 마음에 이날 동성로 곳곳을 누볐다. "이용이 쉽고, 좁은 곳도 마음대로 통과할 수 있고, 대중교통 시설까지 이동이 편리하다"는 게 이씨의 사용 소감이다.

사용할 킥보드에 부착된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찍어 인증하면 300원이 결제된다. 정해진 시간 이후 분단위로 90원만 내면 언제 어디서나 탈 수 있다. 이씨는 사용을 끝낸 뒤 골목에 세워놓고 사라졌다. 

공유주행 서비스 중인 대구의 전동킥보드(2020.9.2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공유주행 서비스 중인 대구의 전동킥보드(2020.9.2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QR 스캔 후 주행 시작" 대구시청 인도에 세워진 전동킥보드(2020.9.13)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QR 스캔 후 주행 시작" 대구시청 인도에 세워진 전동킥보드(2020.9.13)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킥보드를 세워놓고 간 골목길 옷가게 사장은 짜증을 냈다. 30대 최원씨는 "지난주부터 계속 보이는데 아무렇게 두고 가서 짜증난다"며 "치우려고 들었더니 알람소리가 크게 나 당황해 그냥 뒀다"고 말했다. 또 "타는 사람이야 속편하게 떠나면 그만이지만 여기 사는 사람들은 길도 좁은데 방치하니 속이 탄다"면서 "말해보려고 하면 휙 사라지고...누구 하나 다치면 어쩌려고 저러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어 "중구청에 항의해봐도 '어쩔 수 없다'는 말만 하니, 누구를 위한 건지 모르겠다"고 답답해했다.

대구시에 따르면 28일자로 대구지역에 도입된 공유 전동킥보드는 모두 1천510대다. '빔', '씽씽', '머케인' 등 업체 4곳이 운영하고 있다. 이전에 350대에 불과하던 지역의 공유 전동킥보드는 지난 11일자로 업체 '빔' 700대, 다른 업체들도 도입 숫자를 늘려 9월 들어 1,500여대로 5배 가량 급증했다.

대구 동구 한 아파트단지 도로 갓길에 세워진 전동킥보드(2020.9.24)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 동구 한 아파트단지 도로 갓길에 세워진 전동킥보드(2020.9.24)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상가 앞 좁은 길에 음식물 쓰레기통과 이틀째 방치된 킥보드(2020.9.2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상가 앞 좁은 길에 음식물 쓰레기통과 이틀째 방치된 킥보드(2020.9.28)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전동휠·전기자전거 등 퍼스널 모빌리티(PM)는 사용이 쉬워 개인 이동수단으로 활용된다. 운전면허증·원동기면허증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고 사용료도 싸고 주차지도 필요 없다. 이륜자동차(오토바이)로 분류돼 2명이 올라탈 수 있고 도로 주행도 가능하다. 사업자에게도 편리하다. 자유업종에 속하기 때문에 행정기관의 인허가나 승인 없이 운영이 가능하다. 이미 서울에는 3만5천여대가 도입됐고 다른 지자체도 너도나도 도입하는 추세다. 대구가 거의 마지막 보급지다.    

하지만 대구 8개 구·군 도심 전역에 공유 킥보드 숫자가 갑자기 늘면서 시민들 불만도 커지고 있다. 킥보드 관련 법 미비, 안전대책 부재, 사고 위험으로 인한 불안이다. 실제로 전동킥보드 사고(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2019년 자료)는 2016년 49건에서 2018년 258건으로 최근 3년간 5배 증가했다.  

2주 넘게 대구시와 구·군으로 민원이 쏟아지자 뒤늦게 대책을 내놨다. 대구지방경찰청에 안전모(헬멧) 미착용에 대해 도로교통법상 위반으로 단속을 요청했고, 무단적치물일 경우 구·군에 수거도 명령했다. 28일에는 업체 4곳에 주차장 미확보시 수거한다는 공문도 보냈다. 곧 관련 규제 조례도 제정한다.  

대구 도심에 들쭉날쭉 주차된 전동킥보드들(2020.9.13)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대구 도심에 들쭉날쭉 주차된 전동킥보드들(2020.9.13) / 사진.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그럼에도 상위법이 바뀌지 않는 이상 지자체가 할 수 있는 일은 사실상 많지 않다는 게 대구시 입장이다. 개인형 이동장치의 자전거 도로 통행을 허용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도로교통법'과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오는 12월 10일부터 시행된다.

대구시 교통국 녹색교통팀장은 "상위법이 미비한 상태에서 규제는 어렵다"고 밝혔다. 다만 "민원이 많아져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수거나 단속에 이어 조례를 만들어 안전을 담보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