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문조사 1,000명 / 시민이 매긴 평가점수...대구시장 2.54점·교육감 2.62점, '최저' 3040 세대
'삶의 질 나아지지 않았다' 63.8%, 큰 문제점 '단체장 자질·역량 부족' 28.7%..."주민참여 확대"
지방자치 부활 30년을 맞아 대구시장과 대구시교육감에 대한 '시민 성적표'가 나왔지만 단체장에 대한 평가는 낮았고, 지방자치제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시민 기대에 못 미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에 대한 평가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2.58점이다. 특히 3040 세대가 매긴 점수가 가장 저조했다. 또 60% 이상이 지방자치로 인해 '삶의 질이 나아지지 않았다'고 답했고, 지방자치를 가로막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단체장들의 자질과 역량 부족'을 꼽았다.
![]() |
||
▲ (왼쪽부터)권영진 대구시장이 2021년 7월 20일 '영남권미래발전협의회'에서 발언 중이다. 강은희 대구교육감이 2021년 7월 1일 취임 3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사진.본인 페이스북 |
'현재 대구시장을 평가한다면 5점 만점에 몇 점을 주겠습니까' 항목에서, 시민들이 권 시장에게 준 평균 점수는 2.54점이다. 1점이 31.9%로 가장 많고, 3점 25.5%, 2점 18.2%, 4점 12.7%, 5점 11.7%다. 성별로 여성(2.65점)이 남성(2.43점)보다 점수가 높다. 연령별로 60대 이상이 3.13점으로 가장 후했고, 50대(2.53점), 20대(2.45점), 40대(2.10점), 30대(2.01점)' 순이다. 지역별로는 지역에 관계 없이 2점대 중후반 점수를 줬다. 서구(2.85점), 남구(2.80점), 중구(2.74점), 동구(2.63점) 순이다.
![]() |
||
▲ 현재 권영진 대구시장을 평가한다면, 5점 만점에 몇 점?...'평균 2.54점' / 자료.대구참여연대 제공 |
![]() |
||
▲ 현재 강은희 대구교육감을 평가한다면, 5점 만점에 몇 점...'평균 2.62점' / 자료.대구참여연대 제공 |
'지방자치로 지역주민 삶의 질이 나아졌는지' 묻는 조사에서는 '별로 그렇지 않다' 41.4%, '전혀 그렇지 않다' 22.4%로,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가 63.8%로 나타났다. '매우 그렇다'는 5.9%, '조금 그렇다'는 21.6%로 삶의 질이 나아졌다고 답한 이는 27.5%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8.6%다.
![]() |
||
▲ 지방자치로 삶의 질이 나아졌는가?...'그렇다' 27.5%, '그렇지 않다' 63.8% / 자료.대구참여연대 제공 |
![]() |
||
▲ 지방자치가 지역발전에 기여했나?...'그렇다' 34.5%, '그렇지 않다' 57.7% / 자료.대구참여연대 제공 |
'대구 지방자치 발전을 가로막는 큰 문제점'은 '단체장들 자질·역량 부족'이 28.7%로 가장 높고, '지방의원들 자질·역량 부족(21.1%)', '지방권한·예산부족(19.1%)', '특정정당 독식 정치구조(13.7%)', '지방공무원들 자질·역량 부족(6.8%)', '주민 무관심·참여 부족(4.2%)' 순이다. '잘 모르겠다'는 6.4%다.
![]() |
||
▲ 지방자치 가로막는 문제점...'단체장 자질역량 부족' 28.7%, '지방의원 자질역량 부족' 21.1%, '지방 권한과 예산부족 19.1%, '특정정당 독식 정치' 13.7%, '지방공무원 자질역량 부족' 6.8% / 자료.대구참여연대 제공 |
![]() |
||
▲ 지방자치로 인해 주민참여 기회가 확대됐나?...'그렇지 않다' 55.8% / 자료.대구참여연대 제공 |
시민이 본 '대구가 해결할 우선 과제'는 '저출생·고령화문제'가 31.6%로 가장 높았고, '주거·교통 정주문제'가 25.0%로 그 다음 높았다. '아동·보육 청소년 교육문제' 10.3%, '사회적 차별·혐오문제' 8.4%, '기후·에너지 환경문제' 6.9%, '보건의료·안전문제' 2.8%순이다. 14.9%는 '잘 모르겠다'고 했다.
![]() |
||
▲ 대구가 해결할 우선 과제는?...'저출생.고령화 문제' 31.6% / 자료.대구참여연대 제공 |
![]() |
||
▲ 대구 청년 수도권 유출을 막기 위해 필요한 것은?...'일자리 확대' 61.0% / 자료.대구참여연대 제공 |
이 조사는 대구경북학회 등 7개 단체가 여론조사기관 세종리서치에 의뢰해 6월 28일~30일까지 대구 거주 만19세 이상 남·여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2021년 5월 기준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른 성별·연령별·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할당 추출 방식이다. RDD 방법을 이용한 유선전화번호 100.0%, 응답률 1.8%, 신뢰도 및 표본오차 95% 신뢰도 수준에 ±3.1%p 표본오차다. 응답자의 성별은 남성 48.8%, 여성 51.2%, 연령별 20대 15.8%, 30대 14.4%, 40대 18.8%, 50대 21.0%, 60대 이상 30.0%, 지역별 중구 3.2%, 동구 14.5%, 서구 7.5%, 남구 6.5%, 북구 18.1%, 수성구 17.0%, 달서구 22.9%, 달성군 10.3%다.
평화뉴스 김영화 기자 movie@pn.or.kr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