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눈물 닦아주지 못하는 가슴 아픈 97주년 3.1절

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 입력 2016.03.01 18:2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 2백여명, 3.1절 기념 시민대회..."굴욕적인 한·일협상, 전면무효ㆍ재협상" 촉구


97주년 3.1절을 맞아 대구 시민 2백여명이 "굴욕적인 한·일합의 전면무효"를 촉구했다.

(사)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 대구평화나비, 민족문제연구소대구지부 등 22개 대구지역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 대구행동'은 97주년을 맞는 3월 1일 오후 대구백화점 앞에서 '누구 맘대로'를 주제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를 위한 대구시민대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시민 2백여명이 참석했으며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2시간가량 진행됐다.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를 위한 대구시민대회에 시민200여명이 참여했다.(2016.3.1.대구백화점 앞) / 사진. 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를 위한 대구시민대회에 시민200여명이 참여했다.(2016.3.1.대구백화점 앞) / 사진. 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직접 만든 손피켓을 들고 집회에 참가한 고등학생(2016.3.1.대구백화점 앞) / 사진. 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직접 만든 손피켓을 들고 집회에 참가한 고등학생(2016.3.1.대구백화점 앞) / 사진. 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이들은 행사에 앞서 오후 1시부터 대구백화점 앞 야외과장에서 피켓·등판 만들기, 풍선나눔, 서명운동 등 3.1절 기념 시민 참여 부대행사를 열었다. 이어 오후 2시부터 1시간가량 시민대회를 열었다. 행사는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된 238명 중 세상을 떠난 194명과 미처 알려지지 않는 수많은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위한 묵념으로 시작됐다. 시민들의 자유 발언과 함께 노래공연도 진행됐다. 행사 마지막에는 대구백화점 앞에서 시작해 한일극장, 봉산육거리, 통신골목을 거쳐 2km가량 행진이 이어졌다.

특히 대구행동은 이날 행사에서 "한·일정부가 타결한 협상은 일제시대 피해자들을 비롯한 우리나라 국민들을 우롱한 굴욕협상으로 전면무효"라며 "위안부 피해자 의견을 수렴해 재협상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정부는 굴욕협상을 해놓고 최선의 합의라며 피해자들에게 양보와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97주년 3.1절을 맞았지만 위안부들의 눈물을 닦아주지 못하는 가슴 아픈 오늘"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정부는 국제사회의 합의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면서 "반론조차 제기하지 못하도록 불가역적 합의라고 주장하는 것은 위안부 피해자들을 두 번 울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때문에 이들은 "97주년 3.1절을 맞아 양국 정부는 재협상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비모양의 등판을 메고 엄마와 행진하는 아이(2016.3.1.대구2.28공원 앞)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나비모양의 등판을 메고 엄마와 행진하는 아이(2016.3.1.대구2.28공원 앞)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안이정선(61) 정신대시민모임 대표는 "최초의 여성대통령 박근혜 대통령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마음을 이해조차 하지 않은 채 굴욕적인 협상을 자랑스럽게 발표했다"며 "진상규명과 법적배상, 책임자 처벌이 없는 한일협상은 전면무효"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학생들과 주부들도 정부의 최근 한일협상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부스에서 만든 피켓을 들고 행사에 참석한 심지민(18.학생)씨는 "일본과 같은 전범국가였던 독일 정부는 세계가 본받을 정도로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과거에 대한 책임을 졌다"며 "사과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 일본과 말도 되지 않는 협의를 받아들인 우리 정부를 바라보면 정말 잘못됐다"고 비판했다.

아이들을 데리고 부스행사에 참여한 윤미소(35.주부)씨도 "박근혜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들과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한 채 역사에 남을 치욕적인 죄를 지었다"면서 "아이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역사를 물려주지 않기 위해서는 반드시 일본 정부와 다시 협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미란(21.대학생))씨는 "1919년 독립만세를 외친 뒤 97년이 지났지만 우리나라 국민들은 여전히 독립을 외치고 있다"며 "일제강점기와 달라진 것이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또 "법적배상과 일본의 책임이 빠진 협상은 강제동원된 피해자, 위안부, 독립투사들을 두 번 죽이는 일"이라고 질타했다.

'위안부' 합의 무효를 위한 3.1.시민거리행진(2016.3.1.동성로)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위안부' 합의 무효를 위한 3.1.시민거리행진(2016.3.1.동성로) / 사진.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위안부' 합의 무효를 위한 3.1.시민거리행진(2016.3.1.대구2.28공원 앞) / 사진. 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위안부' 합의 무효를 위한 3.1.시민거리행진(2016.3.1.대구2.28공원 앞) / 사진. 평화뉴스 김지연 수습기자

앞서 지난해 12월 28일 윤병세 외교통상부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에 합의했다. 양국이 발표한 합의안은 '평화의 소녀상' 이전을 조건으로 한국정부가 '위안부'재단을 설립할 경우 일본정부가 기금 10억엔을 출연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법적배상과 법적 책임이 명시돼 있지 않고 위안부 피해자들의 참여가 배제돼 비판을 받고 있다.

한편 지난 20일 김경순 할머니가 지병으로 별세해 현재 정부에 등록된 238명의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44명뿐이다. 같은 달 15일 경남 양산에서 최모 할머니에 이어 이달 들어 세상을 떠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두 명이다.

저작권자 © 평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